오케스트라가 현대의 대중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 중 하나는 영화음악이다. 할리우드 볼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을 지낸 지휘자 존 마우체리는 “낭만주의 오케스트라의 음악어법이 코른골트를 비롯한 작곡가들에 의해 영화음악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 대중이 말러를 비롯한 후기낭만주의 음악을 친근하게 느끼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했다.지난 18일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수석객원지휘자 윌슨 응 지휘로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펼친 ‘클래식 인 무비’ 콘서트는 바그너에서 차이콥스키, 폴 뒤카, 피에트로 마스카니에 이르는 후기낭만주의 작곡가뿐 아니라 ‘심포닉 재즈’로 미국 대중음악과 오케스트라의 연결고리를 마련한 조지 거슈윈, 현대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까지 두루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첫 곡인 거슈윈의 ‘걸 크레이지’ 서곡부터 이날 연주의 특징은 비교적 명확히 잡혀 나갔다. 각 파트가 서로 귀 기울여 듣는 단정한 앙상블이 확고한 인상을 줬다. 현악이 리드하는 전체적 밸런스는 따뜻하고 풍성한 음의 색상으로 다가왔다. 트럼펫과 타악기가 증강된 2관 편성이었지만 이보다 큰 편성의 느낌이었다. 이어지는 모리코네 ‘미션’ 중 ‘가브리엘의 오보에’는 오보에의 나무랄 데 없는 솔로도 좋았지만 현의 따뜻한 음색이 멋진 배경을 마련해줬다.거슈윈 ‘파리의 미국인’에서 트럼펫 솔로는 등장하면서부터 도회의 석양과 같은 희부연 느낌을 잘 살려냈다. 후반부 알레그로로 벨(나팔)을 연 트럼펫과 약음기를 낀 트럼펫이 같은 멜로디를 연주하는 부분에서 고음역에 미세한 어긋남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전
오케스트라가 현대의 대중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 중 하나는 영화음악이다. 할리우드 볼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낸 지휘자 존 마우체리는 “낭만주의 오케스트라의 음악어법이 코른골트를 비롯한 작곡가들에 의해 영화음악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 대중들이 말러를 비롯한 후기낭만주의 음악에 친근해지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한다.18일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수석 객원지휘자 윌슨 응 지휘로 롯데콘서트홀에서 펼친 ‘클래식 인 무비’ 콘서트는 바그너에서 차이콥스키, 뒤카, 마스카니에 이르는 후기낭만주의 작곡가들과 ‘심포닉 재즈’로 미국 대중음악과 오케스트라의 연결고리를 마련한 거슈윈, 현대 영화음악가 모리코네의 음악까지 두루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 연주된 작품 모두가 영화에 사용되었거나 영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서사적 관현악곡이다.첫 곡인 거슈윈의 ‘걸 크레이지’ 서곡부터 이날 연주의 특징은 비교적 명확히 잡혀 나갔다. 각 파트가 서로 귀 기울여 듣는 단정한 앙상블이 확고한 인상을 주었다. 현악이 리드하는 전체적인 밸런스는 따뜻하고 풍성한 음의 색상으로 다가왔다. 트럼펫과 타악기가 증강된 2관 편성이었지만 이보다 큰 편성의 느낌이었다. 왼쪽에 함께 자리 잡은 바이올린군(群), 하프, 피아노가 절묘한 밸런스로 아름다운 음색의 조합을 자아낸 점도 인상적이었다. 이어지는 모리코네 ‘미션’ 중 ‘가브리엘의 오보에’는 오보에의 나무랄 데 없는 솔로도 좋았지만 현의 따뜻한 음색이 멋진 배경을 마련해 주었다.거슈윈 ‘파리의 미국인’에서 트럼펫 솔로는 등장하면서부터 도
홍콩 출신 지휘자 윌슨 응(36·사진)은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권 젊은 지휘자다. 2019년 서울시향 수석부지휘자로 한국과 첫 인연을 맺은 그는 국내 관객에게도 친숙하다. 오는 10월 로열콘세르트헤바우 데뷔를 앞두고 있다. 내년에는 런던필하모닉 지휘도 예정돼 있다.지난 16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만난 그는 1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 공연 리허설에 한창이었다. 이번 공연의 주제는 ‘클래식 in 무비’. 조지 거슈윈과 차이콥스키, 엔니오 모리코네, 폴 뒤카스 등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곡들을 선곡했다.“단순한 영화음악 콘서트가 아닙니다. 영화뿐 아니라 드라마, 뮤지컬, 발레까지 아우르는 ‘이야기의 음악’이에요. 프로그램 전체가 굉장히 드라마틱합니다. 마치 롤러코스터 같다고 할까요.” 보통 교향곡이 점차 고조돼 정점으로 치닫는 구조라면 이번 무대는 관객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모험하는 기분을 느끼게끔 설계했다.프로그램은 거슈윈의 활기찬 두 작품을 시작으로 모리코네의 ‘가브리엘의 오보에’와 ‘시네마 파라디소’, 차이콥스키의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뒤카스의 ‘마법사의 제자’ 등을 들려준다. 핵심은 대비와 균형이다. “거슈윈은 리듬감 즉 그루브가 있습니다. 차이콥스키와 같은 클래식 음악에는 그런 그루브가 없죠. 모리코네의 영화음악은 서정적이고 표현적입니다. 이번 무대는 이런 대조를 통해 관객이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짰습니다.”클래식 무대에 모리코네와 같은 영화음악을 올리는 이유에 대해서는 “보통 영화음악 하면 존 윌리엄스나 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