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가을비가 그치고 어둠이 내려앉은 초저녁.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잔디광장은 쌉싸름한 커피 향과 우아한 왈츠 선율이 어우러진 야외 공연장으로 탈바꿈했다. 약 2000㎡(약 606평) 규모의 부지에 마실 거리, 즐길 거리 등 30여 개 기업이 참여하는 ‘2025 청춘, 커피 페스티벌’ 현장에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의 공연 실황 영상이 상영되면서다. 이날 펼쳐진 공연은 지난 3월 광주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이병욱 지휘로 진행된 ‘슈트라우스 2세 탄생 200주년 기념 음악회’였다. 공연의 첫 곡은 ‘봄의 소리 왈츠’. 1882년에 작곡된 곡으로 겨울잠에서 막 깨어난 새들이 노래하는 듯한 청량한 선율과 활기찬 리듬이 인상적인 작품이다. 그 뒤로는 다양한 타악기를 활용해 폭풍우가 몰아치는 풍경을 표현하는 ‘천둥과 번개 폴카’가 연주되며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천둥과 번개를 연상시키는 큰 북과 심벌즈의 역동적인 소리가 인상적이었다. 다음은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동생인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대표작 중 하나인 ‘걱정 없이 폴카’였다.이어 트럼펫과 호른이 등장해 마치 사냥 나팔과 말이 빠르게 달려 나가는 듯한 장면을 묘사한 ‘사냥 폴카’가 끝나고, 다음 곡이 흘러나왔다. 과거 유명 커피 광고 음악으로 쓰이며 친숙해진 작품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이 연주됐기 때문이다. 왈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음악이다. 공연 영상은 소프라노 양제경·문현주, 메조소프라노 정주연, 테너 이명현, 바리톤 안갑성·김경천, 베이스 박의현이 솔리스트로 참여한 슈트라우스 2세 오페레타 ‘박쥐’ 하이라이트 무대
오케스트라가 현대의 대중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 중 하나는 영화음악이다. 할리우드 볼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을 지낸 지휘자 존 마우체리는 “낭만주의 오케스트라의 음악어법이 코른골트를 비롯한 작곡가들에 의해 영화음악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 대중이 말러를 비롯한 후기낭만주의 음악을 친근하게 느끼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했다.지난 18일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수석객원지휘자 윌슨 응 지휘로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펼친 ‘클래식 인 무비’ 콘서트는 바그너에서 차이콥스키, 폴 뒤카, 피에트로 마스카니에 이르는 후기낭만주의 작곡가뿐 아니라 ‘심포닉 재즈’로 미국 대중음악과 오케스트라의 연결고리를 마련한 조지 거슈윈, 현대 영화음악가 엔니오 모리코네의 음악까지 두루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첫 곡인 거슈윈의 ‘걸 크레이지’ 서곡부터 이날 연주의 특징은 비교적 명확히 잡혀 나갔다. 각 파트가 서로 귀 기울여 듣는 단정한 앙상블이 확고한 인상을 줬다. 현악이 리드하는 전체적 밸런스는 따뜻하고 풍성한 음의 색상으로 다가왔다. 트럼펫과 타악기가 증강된 2관 편성이었지만 이보다 큰 편성의 느낌이었다. 이어지는 모리코네 ‘미션’ 중 ‘가브리엘의 오보에’는 오보에의 나무랄 데 없는 솔로도 좋았지만 현의 따뜻한 음색이 멋진 배경을 마련해줬다.거슈윈 ‘파리의 미국인’에서 트럼펫 솔로는 등장하면서부터 도회의 석양과 같은 희부연 느낌을 잘 살려냈다. 후반부 알레그로로 벨(나팔)을 연 트럼펫과 약음기를 낀 트럼펫이 같은 멜로디를 연주하는 부분에서 고음역에 미세한 어긋남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전
오케스트라가 현대의 대중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 중 하나는 영화음악이다. 할리우드 볼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을 지낸 지휘자 존 마우체리는 “낭만주의 오케스트라의 음악어법이 코른골트를 비롯한 작곡가들에 의해 영화음악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 대중들이 말러를 비롯한 후기낭만주의 음악에 친근해지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한다.18일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수석 객원지휘자 윌슨 응 지휘로 롯데콘서트홀에서 펼친 ‘클래식 인 무비’ 콘서트는 바그너에서 차이콥스키, 뒤카, 마스카니에 이르는 후기낭만주의 작곡가들과 ‘심포닉 재즈’로 미국 대중음악과 오케스트라의 연결고리를 마련한 거슈윈, 현대 영화음악가 모리코네의 음악까지 두루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 연주된 작품 모두가 영화에 사용되었거나 영화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서사적 관현악곡이다.첫 곡인 거슈윈의 ‘걸 크레이지’ 서곡부터 이날 연주의 특징은 비교적 명확히 잡혀 나갔다. 각 파트가 서로 귀 기울여 듣는 단정한 앙상블이 확고한 인상을 주었다. 현악이 리드하는 전체적인 밸런스는 따뜻하고 풍성한 음의 색상으로 다가왔다. 트럼펫과 타악기가 증강된 2관 편성이었지만 이보다 큰 편성의 느낌이었다. 왼쪽에 함께 자리 잡은 바이올린군(群), 하프, 피아노가 절묘한 밸런스로 아름다운 음색의 조합을 자아낸 점도 인상적이었다. 이어지는 모리코네 ‘미션’ 중 ‘가브리엘의 오보에’는 오보에의 나무랄 데 없는 솔로도 좋았지만 현의 따뜻한 음색이 멋진 배경을 마련해 주었다.거슈윈 ‘파리의 미국인’에서 트럼펫 솔로는 등장하면서부터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