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주목하는 ‘바이올린 샛별’ 김서현이 국내 청중과 만난다. 8월 21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오케스트라 ‘더클래식 2025’ 시리즈 다섯 번째 공연에서다. 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 등을 역임한 최수열 연세대 음악대학 교수가 포디엄에 오른다. 그는 현재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도 활동하고 있다.김서현은 2023년 만 14세 나이로 스위스 티보르 버르거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알린 바이올리니스트다. 당시 그는 1위와 함께 주니어 심사위원상, 위촉곡 최고 해석상 등 특별상도 거머쥐면서 압도적인 실력을 증명했다. 김서현은 현재 티보르 바르거 가문의 후원으로 1753년산(産) 과다니니를 사용하고 있다.김서현은 이제 17살밖에 안 된 앳된 연주자지만, 웬만한 성인 연주자 버금가는 커리어를 쌓고 있다. 이자이 국제 음악 콩쿠르(2021), 레오니드 코간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2021), 토머스 앤 이본 쿠퍼 국제 콩쿠르(2022) 등에서 전부 1위 자리에 올랐다. 지난달엔 클라우스 메켈레, 파보 예르비, 길 샤함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이 소속된 굴지의 클래식 매니지먼트사인 해리슨패럿과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김서현은 이번 공연에서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으로 한경아르떼필과 호흡을 맞춘다. 프랑스 출신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가 전설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파블로 데 사라사테를 위해 1880년에 작곡한 작품이다. 풍부한 선율과 세련된 기교 처리, 정교한 짜임새가 돋보이는 협주곡이다. 2부에선 드뷔시의 ‘바다’가 연주된다. 프랑스 인상주의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가 원
180㎝ 넘는 높이에 무게가 40㎏에 달하는 황금빛의 몸체, 47개의 긴 현으로 환상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는 악기 하프. 이 신비로운 악기의 숨겨진 면면을 드러내고,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하피스트가 있다.5년 전 악보조차 읽지 못하던 방송인 유재석에게 하프를 가르치고, 그와 함께 무대에 오르며 악기의 매력을 알린 하피스트 윤혜순 씨(65·사진)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현 국립심포니)에서 27년간 활동한 뒤 정년퇴직한 그는 지난해부터 한경아르떼필하모닉에서 하프 수석을 맡고 있다.윤 수석은 28일 “코리안심포니가 친정이라면, 한경아르떼필은 인생의 두 번째 막을 열어준 제2의 고향”이라며 “일전 악단에서 노련함을 느꼈다면, 젊은 단원이 많은 한경아르떼필에선 신선한 에너지를 만끽하고 있다”고 했다.윤 수석이 하프와 인연을 맺은 건 중학교 1학년 때다. 만 7세 때부터 줄곧 피아노를 쳐온 그에게 친언니가 하프를 권하면서다. 미국 명문 피바디 음악원 재학 당시 그의 별명은 ‘피바디 귀신’이었다. 윤 수석은 “남편이 새벽 7시께 학교에 내려주고, 밤 11시께 데리러 올 때까지 계속 학교에 머물며 연습만 하던 시절”이라고 했다. 그는 “5~6년 전까지만 해도 연주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편이었다”며 “솔로 파트가 많은 악기인 만큼 실수 없이 모든 걸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야 온전히 즐기면서 연주할 수 있게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5년 전 한 방송사 예능 프로그램에서 유재석의 하프 스승으로 출연한 그는 “처음엔 고민이 많았지만, 하프가 조금 더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갔으면
180㎝ 넘는 키에 무게가 40㎏에 달하는 황금빛의 몸체, 47개의 긴 현으로 환상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는 악기 하프. 누구나 살면서 한 번쯤 들어봤지만, 제대로 알진 못했던 이 신비로운 악기의 숨겨진 면면을 드러내고,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하피스트가 있다. 5년 전 악보조차 읽지 못했던 방송인 유재석에게 하프를 가르치고, 그와 함께 무대에 오르며 악기의 매력을 알린 하피스트 윤혜순(65)이다.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현 국립심포니)에서 27년간 활동한 뒤 정년퇴직한 그는 지난해부터 한경아르떼필하모닉에서 하프 수석을 맡고 있다.28일 서울 청파로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만난 그는 “코리안심포니가 친정이라면, 한경아르떼필은 인생의 두 번째 막을 열어준 제2의 고향”이라며 “일전 악단에서 노련함을 느꼈다면, 젊은 단원들이 많은 한경아르떼필에선 신선한 에너지를 만끽하고 있다”고 했다. “두 악단은 교향곡뿐 아니라 발레, 오페라 같은 다양한 음악 장르를 소화한단 점에서 공통점이 있어요. 새로운 곡을 접할 기회가 많다는 건 연주자에게 재산이 늘어나는 것만큼 뿌듯한 일이죠.”윤 수석이 하프와 인연을 맺은 건 중학교 1학년 때다. 만 일곱 살 때부터 줄곧 피아노를 쳐온 그에게 친언니가 하프를 권하면서다. “처음 하프를 배울 땐 재밌다고 착각했었던 것 같아요. 일단 악보를 볼 줄 알았고, 피아노 연습으로 비슷한 손 모양이 잡혀있었기 때문에 진도가 빨랐거든요. 그런데 배우면 배울수록 너무 어려워졌고 얼마 안 가 ‘큰일 났다’고 생각했죠(웃음).”미국 명문 피바디 음악원 재학 당시 그의 별명은 ‘피바디 귀신’이었다. 윤 수석은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