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arte필하모닉1
한경arte필하모닉2
한경arte필하모닉3
한경arte필하모닉4
한경arte필하모닉5
한경arte필하모닉6
한경arte필하모닉7
한경arte필하모닉8
한경arte필하모닉9

SCHEDULE

2025 September 18 목요일
[더클래식 2025] 시리즈6: 클래식 in 무비 2025.09.18 ~ 2025.09.18 오후 7시 30분 롯데콘서트홀
2025 September 28 일요일
DMZ OPEN 국제음악제 [3악장-희망의 알레그로] 2025.09.28 ~ 2025.09.28 오후 3시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2025 October 31 금요일
합창, 오케스트라, 국악앙상블을 위한 ON & ONE KOREA 2025.10.31 ~ 2025.11.01 오후 7시 30분(금) / 오후 4시(토) 서울아트센터 도암홀(금), 반포한강공원 야외무대(토)
2025 December 24 수요일
성남아트센터 앙트레콘서트: 메리메리 크리스마스 콘서트 2025.12.24 ~ 2025.12.24 오후 7시 30분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

Orchestra
Members

|
백수련
CONCERTMASTER 백수련
이지수
VIOLIN 이지수
김현직
VIOLIN 김현직
최상아
VIOLIN 최상아
전하영
VIOLIN 전하영
이하은
VIOLIN 이하은
옥영미
VIOLIN 옥영미
김선주
ASSISTANT PRINCIPAL 김선주
황유선
VIOLA 황유선
정승원
PRINCIPAL 정승원
김정현
CELLO 김정현
박혜진
CELLO 박혜진
조용우
PRINCIPAL 조용우
박성진
DOUBLE BASS 박성진
윤혜순
PRINCIPAL 윤혜순
최유나
ASSISTANT PRINCIPAL 최유나
김채연
FLUTE 김채연
김예은
ASSISTANT PRINCIPAL 김예은
문빛찬
PRINCIPAL 문빛찬
윤지수
CLARINET 윤지수
고태원
CLARINET 고태원
최윤호
ASSISTANT PRINCIPAL 최윤호
정현수
HORN 정현수
김서현
HORN 김서현
김승언
PRINCIPAL 김승언
방승용
TRUMPET 방승용
허지행
PRINCIPAL 허지행
강현수
PRINCIPAL 강현수
남기랑
ASSISTANT PRINCIPAL 남기랑

NEWS

윌슨 응 "거슈윈부터 차이콥스키까지…음악의 롤러코스터 타보세요"

윌슨 응 "거슈윈부터 차이콥스키까지…음악의 롤러코스터 타보세요"

홍콩 출신 지휘자 윌슨 응(36·사진)은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권 젊은 지휘자다. 2019년 서울시향 수석부지휘자로 한국과 첫 인연을 맺은 그는 국내 관객에게도 친숙하다. 오는 10월 로열콘세르트헤바우 데뷔를 앞두고 있다. 내년에는 런던필하모닉 지휘도 예정돼 있다.지난 16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만난 그는 1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 공연 리허설에 한창이었다. 이번 공연의 주제는 ‘클래식 in 무비’. 조지 거슈윈과 차이콥스키, 엔니오 모리코네, 폴 뒤카스 등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곡들을 선곡했다.“단순한 영화음악 콘서트가 아닙니다. 영화뿐 아니라 드라마, 뮤지컬, 발레까지 아우르는 ‘이야기의 음악’이에요. 프로그램 전체가 굉장히 드라마틱합니다. 마치 롤러코스터 같다고 할까요.” 보통 교향곡이 점차 고조돼 정점으로 치닫는 구조라면 이번 무대는 관객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모험하는 기분을 느끼게끔 설계했다.프로그램은 거슈윈의 활기찬 두 작품을 시작으로 모리코네의 ‘가브리엘의 오보에’와 ‘시네마 파라디소’, 차이콥스키의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뒤카스의 ‘마법사의 제자’ 등을 들려준다. 핵심은 대비와 균형이다. “거슈윈은 리듬감 즉 그루브가 있습니다. 차이콥스키와 같은 클래식 음악에는 그런 그루브가 없죠. 모리코네의 영화음악은 서정적이고 표현적입니다. 이번 무대는 이런 대조를 통해 관객이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짰습니다.”클래식 무대에 모리코네와 같은 영화음악을 올리는 이유에 대해서는 “보통 영화음악 하면 존 윌리엄스나 제임

윌슨 응 "거슈윈부터 차이콥스키까지, 음악으로 롤러코스터 타보세요"

윌슨 응 "거슈윈부터 차이콥스키까지, 음악으로 롤러코스터 타보세요"

홍콩 출신 지휘자 윌슨 응(36)은 요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아시아권 젊은 지휘자다. 2019년 서울시향 수석 부지휘자로 한국과 첫 인연을 맺은 그는 국내 관객들에게도 이미 친숙하다. 최근 활동 무대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옮겼고, 오는 10월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데뷔를 앞두고 있다. 내년에는 런던 필하모닉 지휘도 예정돼 있다.16일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만난 그는 오는 18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리는 한경아르떼필하모닉 공연 리허설에 한창이었다. 이번 공연의 주제는 ‘클래식 in 무비’. 조지 거슈윈과 차이콥스키, 엔니오 모리코네, 폴 뒤카스 등 시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곡들을 추렸다. “단순한 영화음악 콘서트가 아닙니다. 영화뿐 아니라 드라마, 뮤지컬, 발레까지 아우르는 ‘이야기의 음악’이에요. 프로그램 전체가 굉장히 드라마틱합니다. 마치 롤러코스터 같다고 할까요?” 보통 교향곡이 점차 고조돼 정점으로 치닫는 구조라면, 이번 무대는 관객이 롤러코스터를 타고 모험하는 기분을 느끼게끔 설계했다. 프로그램은 거슈윈의 활기찬 두 작품을 시작으로, 모리코네의 ‘가브리엘의 오보에’와 ‘시네마 파라디소’, 차이콥스키의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뒤카스의 ‘마법사의 제자’ 등을 들려준다. 핵심은 대비와 균형이다. “거슈윈은 리듬감, 즉 ‘그루브(groove)’가 있습니다. 차이콥스키와 같은 클래식 음악에는 그런 그루브가 없죠. 모리코네의 영화음악은 서정적이고 훨씬 표현적입니다. 이번 무대는 이런 대조를 통해 관객이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도록 짰습니다."클래식 무대에 모리코네와 같은 영화음악

김서현의 바이올린과 최수열의 지휘가 빚은 '여름밤 바다'

김서현의 바이올린과 최수열의 지휘가 빚은 '여름밤 바다'

여섯 살 때 작곡을 시작하고 열세 살에 프랑스 파리 음악원에 입학한 카미유 생상스는 그야말로 타고난 음악가였다. 열한 살의 나이에 데뷔해 국내외 유수 콩쿠르에서 잇달아 우승했다는 사실은 바이올리니스트 김서현을 설명하는 일부 수식어에 불과하다. 열일곱 살 김서현에게 음악은 인생의 대부분이다. 타고난 바이올리니스트 김서현이 지난 21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의 8월 정기공연 ‘한여름 밤의 낭만’에서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연주했다.타고난 지휘자이자 (공연) 프로그래머인 최수열은 생상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3번의 페어링으로 드뷔시의 바다를 선택했다. 전직 해군인 드뷔시의 아버지는 아들이 항해사가 되기를 바랐지만 드뷔시가 아홉 살이 되던 해 파리 코뮌에 가담한 대가로 징역을 살게 돼 직장과 시민권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후견인에게 맡겨진 드뷔시는 바다가 아니라 피아노를 만나 파리 음악원에 입학했다. 하지만 드뷔시의 마음에는 항상 바다가 있었고, 음악의 색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되자 그 바다를 교향시로 만들었다. 바다를 향한 마음을 타고난 드뷔시의 음악은 한여름 밤에 어울리는 곡으로 손꼽힌다.음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신예 바이올리니스트와의 협주, 논리적 형식은 물론 형체가 없는 바다 풍경을 그리는 인상파 작곡가의 교향시로 프로그램을 꾸리는 데 최수열은 주저하지 않았다. 지난해부터 시대를 넘나드는 레퍼토리로 호흡을 맞춰온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함께하기 때문이다.현악기들의 얕은 떨림을 뚫고 김서현이 활을 들자 생상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1악장의 서주가 깊고 차분하게 울려 퍼졌다. 분명 힘